에이프로젠 :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차세대 항체 신약 플랫폼 기업 > 한국 회사

본문 바로가기

한국 회사

에이프로젠 :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차세대 항체 신약 플랫폼 기업

profile_image
가자고 레벨
2025-10-18 17:47 17 0 0

본문

에이프로젠 (007460):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차세대 항체 신약 플랫폼 기업

에이프로젠, 007460, 바이오시밀러, 이중항체, 다중항체, 항체 신약, CDMO, 레미케이드, 허셉틴, 휴미라

에이프로젠은 본래 기계 사업을 영위하였으나, 현재는 바이오 사업 부문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레미케이드, 허셉틴, 휴미라 등 주요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이중/다중 항체 제조 플랫폼 기술을 통해 바이오신약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계사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바이오 제약사로의 성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1. 에이프로젠의 핵심 사업 및 파이프라인

  • 바이오시밀러 개발:
    • 주요 파이프라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GS071)는 일본에서 이미 품목허가를 획득하여 판매 중입니다. 이외에도 허셉틴,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의 글로벌 상업화가 주요 성장 동력입니다.
  • 차세대 이중/다중 항체 플랫폼:
    • 독자 기술력:초고순도 다중항체 제조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를 출원하여, 불순물 생성을 완벽하게 억제하고 높은 순도의 이중/삼중 항체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중요 이슈와 미래 성장 가치

지속적인 사업 구조 개편 및 재무 안정화: 여러 계열사와의 합병 및 지배구조 단순화를 통해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자금 조달 및 채무 상환 등을 통해 바이오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재무적 기반을 마련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CDMO 사업의 시너지 효과: 관계사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가 보유한 대규모 cGMP급 생산 시설(오송 공장)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안정적인 생산 기지이자, 외부 수주를 통한 CDMO 매출 증대의 핵심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동사의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차세대 신약 플랫폼 기술의 가시화:다중항체 플랫폼 기술ADC(항체-약물 접합체) 신약 개발 등 고부가가치 시장으로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퇴행성 관절염 치료 목적의 이중수용체 신약 개발 등 구체적인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과 및 기술 이전(L/O) 계약은 미래 성장 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3. 주식 계산기를 활용한 체계적인 판매 계획 (분할 횟수 41회)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허가 또는 신약 플랫폼 기술 이전 계약 등 대형 이벤트에 따라 주가가 급변합니다. 총 41회의 세밀한 분할 매도 전략을 통해 단기 이슈와 중장기 신약 가치를 모두 포착합니다.

계산기 입력 요소 현재 시장 상황에 맞는 41회 분할 판매 전략
시작 판매가 [다중항체 플랫폼 기술이전(L/O) 계약 공시] 또는 [허셉틴/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임상 3상 성공 발표] 시점을 1차 매도 시작점으로 설정합니다.
현재 평 단가 총 물량의 30% (약 1~12회차)단타 대응 물량으로 집중 배분합니다. (회당 약 2.5% 비중) 단기적인 바이오 섹터 수급 급등을 활용해 빠른 차익 실현을 목표로 합니다.
보유 수량 나머지 총 수량의 70% (약 13~41회차)중장기 성장 가치를 보고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시장 침투신약 파이프라인의 단계별 성과에 따라 매도합니다. (회당 약 2.4% 비중)
분할 횟수 (41회) 41회 분할신약 개발의 긴 호흡바이오시밀러의 상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가 모멘텀(임상 진행, 품목 허가, 판권 계약 등)을 놓치지 않고 대응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목표 수익률 70% ~ 180%를 목표로 설정합니다. 신약 플랫폼 기술의 가치주요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매출 가시화가 목표 달성의 핵심입니다.

투자 유의 사항: 바이오 섹터는 연구개발 비용 지출로 인한 적자 지속 및 재무 안정성 문제를 안고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전과 신약 기술의 구체적인 성과(기술 이전 등)가 나오기 전까지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29 건 - 8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가자고
2025-10-18
레벨 하늘이
2025-10-18
게시판 전체검색